부동산 생각 5

대출규제로 인한 전세대란 월세화 가속

6.27 대출규제로 인해 전세매물이 씨가 마르고 있습니다. 소유권이전조건부 전세대출 금지주담대 실행 시 6개월 내 전입의무 부과 전세퇴거자금대출 1억 이러한 규제들로 인해 새로운 전세매물이 나오지 않고 있어요. 보통 신축 아파트가 입주를 하면 전세 묾량이 많이 나옵니다. 전세보증금으로 잔금을 맞추려는 수요가 많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입주장 때 전세 물량이 많이 나오면서 적당한 가격에 전세 매물을 구합니다. 갭투자 역시 마찬가지. 집을 사면서 세입자를 구해 매매가를 충당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면서 새로운 전세 매물이 나오기도 하는데요. 이 두 가지가 모두 막히면서 새로운 전세 매물은 나오지 않고, 기존의 매물은 기존 세입자가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하면서 또는 사용할 예정이라 전세 매물이 거의..

부동산 생각 2025.07.23

우리나라도 미국처럼? 재테크 중 가장 유리한 건 주식

최근에 이런 기사를 봤습니다.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재테크로 가장 유리한 수단이 주식이라고 답한 비중이 31%라는 내용의 기사였어요. 물론 표본이 매우 적긴 합니다. 1,000만명을 대상으로 한 것도 아니고 천 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이니까요. 몇 명을 표본으로 했든 우리나라에서 가장 유리한 재테크 수단이 부동산이 아니라 주식이라고 대답한 비중이 더 높다고 한 게 신기해서, 이에 대한 제 생각을 적어보려고 합니다. 최근 우리나라의 주식시장에 변화가 생기고 있습니다. 정부가 바뀌면서 상법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고 배당소득 분리과세 이야기도 나오고 있고, 점점 주주친화적으로 시장의 룰이 바뀌려고 하고 있어요. 개인투자자, 소액투자자를 보호하려는 법안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

부동산 생각 2025.07.22

전세대출 원금은 집주인 DSR에, 전세대출 이자는 세입자 DSR에 포함

생각보다 강력한 부동산 정책인 6.27 대출규제. 주담대 한도를 최대 6억으로 잡고, 주담대를 받으면 실거주 의무를 부과하고, 소유권이전조건부 전세대출을 막고.... 요약하면 부동산은 현금이 허락하는 지역의 실거주용 한 채만 사라는 의미입니다. 갭투자를 아예 뿌리뽑기 위해서 이런 이야기도 나오고 있어요. 지금까지 전세대출은 DSR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이제 전세대출까지 DSR에 포함시키겠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전세대출 원금은 임대인 DSR에 포함시키고, 이자는 세입자가 내는 것이니 임차인 DSR에 포함시키겠다는 주요 내용입니다. 정부의 여러 정책을 보면 선진국화하려는 게 느껴집니다. 임차인을 위한 제도인 전세까지 건드는 것을 보면, 전세라는 제도는 선진국에..

부동산 생각 2025.07.17

2030 평범한 직장인이 서울에 내집마련 할 수 있을까

안녕하세요. 20대 후반에 내집마련한 언제나쏨입니다. 평범한 직장인인데, 부모님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게 아닌데, 이래도 서울에 내집마련이 가능할까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시는 것 같아요. 물론 저도 그랬습니다. 직접 부딪혀보기 전까지는 막연하게 서울 아파트는 너무 비싼데 아무리 대출을 받는다고 해도 서울에 내집마련이 가능할까 싶었습니다. 솔직히 말해서는 불가능해보였어요. 그런데 직접 부딪혀보니, 그리고 계속해서 임장을 다녀보니 완전 불가능한 이야기는 아닙니다. 아는 만큼 보이더라구요! 평범한 2030 직장인이 서울에 내집마련을 하기 위해 몇 가지 가정을 하겠습니다. 소득과 자산을 합친 (예비) 신혼부부합산 소득 8천만원합산 보유 현금 1.5억 요즘은 결혼을 늦게 하는 추세이니......

부동산 생각 2025.06.19

부동산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

부동산을 볼 때 중요한 요소가 몇 가지 있습니다. 세대수, 역세권, 인프라, 평지인지의 여부 등등.... 이걸 통틀어 입지라고도 불리는데요. 입지를 구성하는 요소 중 개인적으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바로 학군지입니다.   왜 학군지를 중요하게 생각하는지를 설명하기 전에 먼저 저의 학창시절 이야기를 해야 할 것 같아요. 학군지를 중요한 요소로 본 이유가 학창시절 때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인데요.  서울에는 3대 학군지가 있습니다. 대치동, 목동, 중계동이 바로 그곳들인데요. 저는 서울 3대 학군지 중 하나인 목동에서 학창시절을 보냈습니다. 제가 몸소 학군지의 환경, 분위기를 느꼈기 때문에, 저에게는 학군지인지가 굉장히 중요하더라구요. 만약 저에게 아이가 생긴다면 제 아이도 학군지에서 키우고 싶습..

부동산 생각 2025.01.22
반응형